사회복지총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개정2판)
연구소 2014-09-10 167
저자 이인정, 최해경
판형 신국판
면수 476
발행일 2007-03-05
ISBN 978-89-300-3363-3
책의 내용
사회복지학의 궁극적 목적은 인간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여 행복을 추구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책은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인간의 발달과 행동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해 주는 좋은 자료로 인간행동에 관한 이론을 발달단계론, 성격이론, 이상행동, 사회체계론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포괄적으로 논의하고 이러한 지식이 문제를 가진 사람을 돕는 데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총 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실천
1.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
2. 성격이론과 사회복지실천
3. 이상행동과 사회복지실천
4. 사회환경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제1부 인간의 성장과 발달
제1장 인간발달의 개념
1. 인간발달의 개념과 관점
2. 발달단계와 발달과제
제2장 태아기, 영아기 및 걸음마기
1. 태아기
2. 영아기
3. 걸음마기
제3장 아동기
1. 아동기 전기
2. 아동기 후기
제4장 청소년기
1. 청소년기 전기
2. 청소년기 후기
제5장 청년기
제6장 장년기
제7장 노년기
1. 노년기 전기
2. 노년기 후기
3. 죽음과 애도
제2부 성격이론
제8장 생물학적 유형론 : 한스 아이젠크의 성격이론
제9장 심리역동적 성격이론 Ⅰ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성격이론
2. 안나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이론
제10장 심리역동적 성격이론 Ⅱ
1.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
2.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3. 융의 분석심리학적 성격이론
제11장 행동주의적 성격이론
1.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학습이론
2.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
제12장 인지적 성격이론
1.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2. 벡의 인지적 성격이론
제13장 인본주의적 성격이론
1. 로저스의 현상학적 성격이론
2. 매슬로의 인본주의적 성격이론
제3부 이상행동의 이해
제14장 이상행동의 개념
제15장 이상행동의 모델
1. 생리학적 모델
2. 심리역동적 모델
3. 행동주의적 모델
4. 인지적 모델
제16장 이상행동의 분류와 평가
1. 분류 및 진단
2. 평가
제17장 불안 및 정신신체적 장애
1. 공포장애와 불안장애
2. 강박 장애와 신체형 장애
3. 정신생리학적 장애
제18장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1. 정동장애
2. 정신분열증
제19장 사회적 및 대인관계적 장애
1. 성격장애
2. 물질관련장애
제4부 사회환경의 이해
제20장 사회체계적 관점
1. 기본 가정
2. 주요 개념
3. 사회체계의 역동성
제21장 생태학적 관점
1. 기본 가정
2. 주요 개념
3. 생태학적 환경의 상호교류
제22장 가 족
1. 사회환경으로서 가족체계
2. 가족의 형태
3. 가족체계의 역동성
제23장 집 단
1. 사회환경으로서 집단체계
2. 집단체계의 유형
3. 집단의 역동성
제24장 조 직
1. 사회환경으로서 조직체계
2. 조직의 유형
3. 조직 속에서의 인간행동
제25장 지역공동체
1. 사회환경으로서 지역공동체
2. 지역공동체의 유형 : 농촌공동체와 도시공동체
3. 지역공동체의 상호교류
저자소개
이인정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미국 미시간대학 사회복지학과 박사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역임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 전공 교수
저서 및 논문: <가족복지학>(공저), "기능손상노인의 아내수발자와 며느리수발자의 부담요인의 차이에 관한 연구", "태도와 행동의 변화에 관한 이론의 사회복지실천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만성질환 및 기능손상노인 가족수발자의 재가복지서비스 미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등
최해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
미국 미네소타대학 사회복지학 박사
전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역임
현재 충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 <가족복지론>(공저), "수발상황의 노인학대에 관한 인식과 원조요청 태도: 재미한의 노인세대와 자녀세대의 비교", "조손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적응유연성",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실태와 조부모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