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2016학년도 전기, 후기) 박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2017년(2016학년도 전기, 후기) 박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연도  졸업학년도 전후기 이름 제           목 심사위원장 부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지도교수 2017 2016 전기 조미라 일-생활 균형 관점에서 본 한국 가구의 노동시간 유형화 연구 – 기혼부부의 시간일지를 결합한 배열분석  김태성 주은선 한신갑 김은지 홍백의 2017 2016 전기 박미희 OECD 국가의 청년NEET 결정요인 연구  – 노동시장 구조변화와 사회정책의 조절효과- […]

2016년(2015학년도 전기, 후기) 석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2016년(2015학년도 전기, 후기) 석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연도 졸업연도 전/후기 성명 논문제목 심사위원장 부심사위원장 지도교수 2016 2015 후기 오준호 아동학대행위자의 아동보호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 아동보호전문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혜란 YOO JOAN PAEK 박정민 2016 2015 후기 정은석 고등학생의 체질량지수, 외모만족도가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및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자아존중감의 […]

2016년(2015학년도 전기, 후기) 박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2016년(2015학년도 전기, 후기) 박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연도  졸업학년도 전후기 이름 제           목 심사위원장 부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지도교수 2016 2015 전기 타오 The Pathway of Stress to Depression among Marriage Migrant Vietnamese Women in South Korea: An Empirical Study 이봉주 유조안 이채원 김혜미 강상경 2016 2015 전기 유민상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 […]

2015년(2014학년도 전기, 후기) 석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2015년(2014학년도 전기, 후기) 석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연도 졸업연도 전/후기 성명 논문제목 심사위원장 부심사위원장 지도교수 2015 2014 후기 김윤하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득수준, 자아존중감, 복지인식을 중심으로 이봉주 YOO JOAN PAEK 조흥식 2015 2014 후기 이선화 부부의 소득연관성(association)과 소득불평등 관계에 관한 연구: 1998-2014년 한국을 중심으로  김태성 구인회 홍백의 2015 2014 후기 서정원 엄마대학원생의 […]

2015년(2014학년도 전기, 후기) 박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2015년(2014학년도 전기, 후기) 박사학위 논문 제출자 명단 연도  졸업학년도 전후기 이름 제           목 심사위원장 부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지도교수 2015 2014 후기 김낭희 약물사용자의 약물중독 치료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건강서비스이용행동모형과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조흥식 강상경 정슬기 하경희 이봉주 2015 2014 후기 정은희 한국사회 우울과 소득의 종단적 상호관계: 사회 원인가설과 선택가설 검증을 중심으로  -우울증상과 소득수준 궤적을 중심으로- 이봉주 […]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unctioning and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 Moderating Effects of Age

Few Korean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physical functioning and age on mental health, a condition that is likely to vary according to different age groups. This study examines how functional limitations are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represented by both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a sample of the young-old and old-old persons with disabilities […]

성년후견제도 정책의제 형성과정의 한일비교연구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성년후견제도의 정책의제 형성과정을 밝히고, 그 과정을 분석, 비교한 것이다. 한국의 성년후견제도는 2013년 7월 1일에, 일본의 성년후견제도는 2000년 4월 1일에 각각 시행되었다. 양국의 성년후견제도는 유사하면서도 큰 차이를 가지고 있는데 한국의 성년후견제도에는 일정 기간 또는 특정 사무에 관에서만 후견인의 조력을 받을 수 있는 ‘특정후견’이 신설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지적장애인 등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할 우려가 지적되어온 […]

중·고령기 퇴직 자발성 여부에 따른 은퇴유형 분석

본 연구는 중·고령기 노동생애에서 퇴직의 자발성 여부가 은퇴 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퇴직 경험 이후 고용형태 변화 궤적을 통해 은퇴경로를 유형화 하고, 도출된 은퇴유형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지금까지의 은퇴연구는 은퇴를 과정으로 보면서 은퇴와 은퇴 후 재취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은퇴과정의 종단적 의미를 부각시키는 연구에까지 발전해 왔다. 그러나 […]

Effects of parental acculturation on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mong mongolian families in South Korea

Numbers of foreign immigrant people continues to increase every year in South Korea. Immigration involves a displacement with significant effects on family life, most importantly due to cultural shifts inherent in resettlement. Investigating the acculturation strategy of immigrant parents and their parenting practice is of paramount important and allows us to obtain significant information on […]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n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working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기혼취업여성의 출산의도에 일-가정 갈등이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결혼만족이 일-가정 갈등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여성의 사회적 역할기대와 가정 내 역할기대 간 불일치, 관련 지원정책의 부재가 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갈등에 관한 국내 연구는 대체로 저출산 논의에서 비롯된 경향이 있어 저출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