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차별금지와 관련된 내용이 보다 확대되는 등 장애인의 선택과 자기결정을 강조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법제도를 통해 구체화되면서, 국내 장애인 복지서비스는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공급자 위주의 체제에서 당사자가 선택하고 결정하는 이용자 중심의 체제로 변화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장애인 복지패러다임의 변화와 제도적인 발전이 발달장애인에게까지 영향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발달장애인들이 갖는 기본적인 욕구가 특수함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목소리를 내어온 […]
Effects of Perceived Paternal Parenting Styles and Communication Pattern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Comparison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lcultural Familie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ffects of perceived paternal parenting styles and communication patterns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both family groups. Research questions are based on the ‘Marginal Man theory’ and ‘Family System theory’. They are as […]
동네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저소득층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동네의 환경이 아동의 학업성취, 우울·불안, 비행, 공격성 등 아동발달 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부정적인 아동발달의 양상은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평생의 복리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개인, 가족수준에서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전한 아동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내고 있다. […]
노인의 직업력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노인의 직업력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그 주요 목적으로 한다.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구고령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노년기 건강이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으며, 이러한 건강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 중 주로 사회경제적 특성에 주목한 건강불평등 연구가 이뤄져왔다. 특히 노년기 건강은 전 생애에 걸쳐 누적되어 온 결과물인 만큼 그간 응축된 기회구조의 […]
한국거주 난민들의 적응에 관한 연구
인종, 종교, 국적, 정치, 특정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박해를 받아 본국을 떠나 보호를 받고자 하는 사람을 난민(refugee)라고 한다. 난민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 이들은 일반인과 달리 매우 특수한 상황에 처해있다. 1994년 한국이 난민협약에 가입하고 2001년 난민 인정을 시작하면서부터 매년 한국에 입국하여 난민지위 인정 신청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높아진 한국의 경제적으로 인해 한국의 경제 및 […]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최근 청소년의 자살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청소년의 스트레스, 그 중에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스트레스와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는 신체 및 심리· 정서적 발달을 함께 경험하는 시기로,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해가는 과도기 단계이다. 수많은 발달 과업을 수행해야하는 청소년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
국내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취업에 관한 실증 연구
본 연구는 인적자본 이론, 가구특성 이론 및 노동시장 요인을 중심으로 국내 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취업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 자료는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2006) 자료를 이용하였고, 여성 결혼이민자의 취업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여성 결혼이민자의 인적자본 요소로 연령, 거주기간, 최종학력, 언어구사능력, 본국에서의 취업 경험 유무, 출신국가를 보았다. 가구 특성 변수로는 한국인 […]
청소년 경비행이 중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청소년 경비행이 중비행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청소년 경비행 경험이 중비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가’, ‘경비행 유형은 중비행 발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청소년 경비행 시작시기는 중비행 발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중학교 2학년 청소년들 중 3,697명을 대상으로 1차에서 6차까지 조사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건사분석을 […]
방과후 방치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방과후 방치가 아동의 외현화,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밝힘으로 이들에 대한 보호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부모감독이라는 변수가 방치시간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4,5,6학년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방과후 방치시간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
중국 양로보험제도 운영방식 개혁과정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1986년부터 1998년까지의 중국 양로보험제도 업종통합 운영방식의 도입 및 폐지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중국 양로보험제도는 12년 동안 업종통합 운영방식과 지역통합 운영방식은 혼합해서 실행해왔기 때문에 운영방식에서의 분화상태는 더욱 악화되었으며,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도의 도입과 폐지요인을 밝히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논의를 시작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제도변천요인에 대한 국가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서 논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