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저소득층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동네의 환경이 아동의 학업성취, 우울·불안, 비행, 공격성 등 아동발달 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부정적인 아동발달의 양상은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평생의 복리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개인, 가족수준에서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전한 아동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내고 있다. […]

노인의 직업력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노인의 직업력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그 주요 목적으로 한다.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구고령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노년기 건강이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으며, 이러한 건강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 중 주로 사회경제적 특성에 주목한 건강불평등 연구가 이뤄져왔다. 특히 노년기 건강은 전 생애에 걸쳐 누적되어 온 결과물인 만큼 그간 응축된 기회구조의 […]

한국거주 난민들의 적응에 관한 연구

인종, 종교, 국적, 정치, 특정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박해를 받아 본국을 떠나 보호를 받고자 하는 사람을 난민(refugee)라고 한다. 난민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 이들은 일반인과 달리 매우 특수한 상황에 처해있다. 1994년 한국이 난민협약에 가입하고 2001년 난민 인정을 시작하면서부터 매년 한국에 입국하여 난민지위 인정 신청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높아진 한국의 경제적으로 인해 한국의 경제 및 […]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최근 청소년의 자살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청소년의 스트레스, 그 중에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스트레스와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는 신체 및 심리· 정서적 발달을 함께 경험하는 시기로,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해가는 과도기 단계이다. 수많은 발달 과업을 수행해야하는 청소년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

국내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취업에 관한 실증 연구

본 연구는 인적자본 이론, 가구특성 이론 및 노동시장 요인을 중심으로 국내 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취업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 자료는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2006) 자료를 이용하였고, 여성 결혼이민자의 취업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여성 결혼이민자의 인적자본 요소로 연령, 거주기간, 최종학력, 언어구사능력, 본국에서의 취업 경험 유무, 출신국가를 보았다. 가구 특성 변수로는 한국인 […]

청소년 경비행이 중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청소년 경비행이 중비행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청소년 경비행 경험이 중비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가’, ‘경비행 유형은 중비행 발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청소년 경비행 시작시기는 중비행 발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중학교 2학년 청소년들 중 3,697명을 대상으로 1차에서 6차까지 조사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건사분석을 […]

학업성취 관련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교육의 빈부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아동에 대한 포괄적 접근의 필요성과 학업성취에 관한 투입-과정-산출 분석틀에 근거하여,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효과와 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요인은 아동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교 요인은 아동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가족 요인은 […]

한국 노부모와 성인자녀 간 지원행위에 관한 연구

현대화로 인해 노인의 지위가 하락함에 따라 노인부양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노인 부양체제에 있어서 가족 부양체제가 상대적으로 약화 되었고 사회보장제도의 발전에 힘입어 공적 부양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사회에서의 노인부양은 가족 부양체제에 일차적으로 의존해왔으며, 아직도 가족에 의한 노인수발을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의식이 강하다. 따라서 앞으로도 노인부양에 있어서 가족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맞벌이 부부의 […]

자활직업훈련 참여자들의 임금효과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

본 연구는 자활직업훈련의 참가가 참여자들의 소득을 향상시켰는가? 라는 연구 질문에서 시작된다. 이 질문은 그들이 자활직업훈련에 참여하지 않았더라면 어떻게 되었는가라는 반사실적(counterfactual) 가정에 근거한다. 이들의 직업훈련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활직업훈련 참여 후의 경제활동 변화 여부를 파악하고, 이들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근로빈곤층으로 비교집단을 형성한 후 비교그룹과 자활직업훈련 참가그룹과의 소득을 비교하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자활직업훈련 참여자들의 특성과 근로빈곤층의 특성을 […]

증거기반 실천(Evidence-Based Practice) 적용에 대한 지역사회 일선 정신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사회적응을 위해서 제공되는 정신보건서비스는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보다 과학적인 증거에 기반을 둔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천모델로써 제시된 증거기반실천에 대한 지역사회 일선 정신보건서비스 종사자들의 태도에 어떠한 개인적 조직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하는 연구이다. 증거기반실천의 적용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증거기반 실천모델이 일선 지역사회정신보건 종사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이에 […]